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HOME
Language
Language
English
中國語
병원 선택
전남대학교병원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전남대학교치과병원
빛고을전남대학교병원
전남대학교어린이병원
로그인
회원가입
진료안내
진료과/의료진
진료과/의료진
진료지원부서
소아청소년완화의료
진료일정
진료안내
외래진료
비급여진료 수가고지
응급진료안내
입/퇴원안내
입퇴원절차
면회안내
예약/조회/발급
진료예약
진료예약안내
진료예약
진료예약조회
회원조회
비회원조회
진료기록사본발급
건강정보
질환정보
고객참여
칭찬합시다
병원이용FAQ
어린이병원학교
병원학교소개
학교갤러리
병원안내
병원소개
병원장인사말
병원연혁
HI/캐릭터
병원소식
공지사항
언론보도
갤러리
채용정보
오시는길
병원오시는길
대중교통안내
셔틀버스이용
종합안내도
병원층별안내
주차안내
전화번호안내
CNUH스토리
사랑나눔 행복더하기
칭찬합시다
인물포커스
자원봉사
발전후원회
어린이 국민권익위원회
이용안내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아이디찾기
비밀번호찾기
개인정보처리방침
영상정보처리기기운영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환자의권리와의무
정보공개및경영공시
고객사랑통합콜센터
마이페이지
진료예약조회
복약안내
바로가기 서비스
진료부서
진료부서
소아청소년과
소아청소년 감염과
소아청소년 내분비과
소아청소년 소화기영양과
소아청소년 신경과
소아청소년 신장과
소아청소년 심장과
소아호흡기·알레르기과
소아청소년 혈액종양과
신생아과
소아비뇨의학과
소아신경외과
소아안과
소아성형외과
소아외과
소아이비인후과
소아재활의학과
소아정신건강의학과
소아정형외과
소아피부과
소아흉부외과
산부인과(미성년)
CNUH 네트워크
CNUH 네트워크
전남대학교
생명의학연구윤리심의위원회
임상시험센터
의생명연구원
희귀난치질환통합케어센터
해바라기이동센터
광주북구정신건강증진센터
패밀리사이트
패밀리사이트
전남대학교병원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전남대학교빛고을관절센터
전남대학교치과병원
전남대학교의과대학
전남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
전남대학교간호대학
전남대학교병원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전남대학교치과병원
빛고을전남대학교병원
전남대학교어린이병원
HOME
로그인
회원가입
LANGUAGE
English
中國語
전체메뉴보기
진료안내
진료안내
환자들 얼굴에 미소를
부르는 친절한 스마트병원이
되겠습니다.
고객사랑 통합콜센터
1899-0000
진료과/의료진
진료과/의료진
진료지원부서
소아청소년완화의료
진료일정
진료안내
외래진료
비급여진료 수가고지
응급진료안내
입/퇴원안내
입퇴원절차
면회안내
예약/조회/발급
예약/조회/발급
환자들 얼굴에 미소를
부르는 친절한 스마트병원이
되겠습니다.
고객사랑 통합콜센터
1899-0000
진료예약
진료예약안내
진료예약
진료예약조회
회원조회
비회원조회
진료기록사본발급
건강정보
건강정보
환자들 얼굴에 미소를
부르는 친절한 스마트병원이
되겠습니다.
고객사랑 통합콜센터
1899-0000
질환정보
고객참여
고객참여
환자들 얼굴에 미소를
부르는 친절한 스마트병원이
되겠습니다.
고객사랑 통합콜센터
1899-0000
칭찬합시다
병원이용FAQ
어린이병원학교
병원학교소개
학교갤러리
병원안내
병원안내
환자들 얼굴에 미소를
부르는 친절한 스마트병원이
되겠습니다.
고객사랑 통합콜센터
1899-0000
병원소개
병원장인사말
병원연혁
HI/캐릭터
병원소식
공지사항
언론보도
갤러리
채용정보
오시는길
병원오시는길
대중교통안내
셔틀버스이용
종합안내도
병원층별안내
주차안내
전화번호안내
CNUH스토리
CNUH스토리
환자들 얼굴에 미소를
부르는 친절한 스마트병원이
되겠습니다.
고객사랑 통합콜센터
1899-0000
사랑나눔 행복더하기
칭찬합시다
인물포커스
자원봉사
발전후원회
어린이 국민권익위원회
1899-0000
진료안내
진료과/의료진
진료과/의료진
진료지원부서
소아청소년완화의료
진료일정
진료안내
외래진료
비급여진료 수가고지
응급진료안내
입/퇴원안내
입퇴원절차
면회안내
예약/조회/발급
진료예약
진료예약안내
진료예약
진료예약조회
회원조회
비회원조회
진료기록사본발급
건강정보
질환정보
고객참여
칭찬합시다
병원이용FAQ
어린이병원학교
병원학교소개
학교갤러리
병원안내
병원소개
병원장인사말
병원연혁
HI/캐릭터
병원소식
공지사항
언론보도
갤러리
채용정보
오시는길
병원오시는길
대중교통안내
셔틀버스이용
종합안내도
병원층별안내
주차안내
전화번호안내
CNUH스토리
사랑나눔 행복더하기
칭찬합시다
인물포커스
자원봉사
발전후원회
어린이 국민권익위원회
홈
CNUH스토리
진료안내
예약/조회/발급
건강정보
고객참여
병원안내
CNUH스토리
이용안내
마이페이지
인물포커스
사랑나눔 행복더하기
칭찬합시다
인물포커스
자원봉사
발전후원회
어린이 국민권익위원회
인물포커스
가
CNUH스토리
CNUH STORY
사랑나눔 행복더하기
칭찬합시다
인물포커스
자원봉사
발전후원회
어린이 국민권익위원회
인물포커스
게시판 목록
• 총
253
검색기준
제목
내용
작성자
검색어
정명호 교수, 대만 심근경색학회서 특강
정명호 교수, 대만 심근경색학회서 특강 <사진설명: 정명호 교수(순환기내과)> 전남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정명호 교수가 지난 26일 대만 타이베이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심근경색학회에서 ‘한국인 심근경색증 연구의 18년 경험(Eighteen-year clinical experience of 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이라는 주제로 특강을 했다. 정 교수는 지난 2021년 대만심근경색학회(TAMIS·TAiwan Myocardial Infarction Society) 창립학회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한국인 급성심근경색증 등록연구(KAMIR) 연구를 소개한 바 있다. 이번 학회에서 TAMIS 회장인 David Huang 교수를 포함한 많은 심장학자들이 KAMIR의 연구경험에 관해 관심을 갖고 공동연구를 제안했다. 대만심장학자들은 오는 6월 8~10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되는 광주국제심장중재술 심포지엄에 참석하기로 했다. 정 교수는 “이번 대만심근경색학회에서 KAMIR 연구 경험을 소개하고 공동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전남대병원의 위상을 올리고 동양인 심근경색증 환자의 치료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지범 교수, 우암학술상 수상
이지범 교수, 우암학술상 수상 <사진설명: 이지범 교수(피부과)> 전남대학교병원 피부과 이지범 교수가 지난 25일 서울에서 열린 대한피부연구학회 주최 ‘2023 KSID symposium’에서 우암학술상을 수상했다. 이 교수는 ‘캡사이신이 주사(酒筱·rosacea)의 신경 염증 매개체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capsaicin and TRPV1 on neuroinflammatory mediators of rosacea)’이라는 논문으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주사는 아직 그 병태생리가 밝혀지지 않은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최근 감각 신경계의 조절장애가 이 질환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가운데, 이 교수는 이번 논문에서 캡사이신이 신경 염증 매개체와 연관이 있으며 TRPV1 억제제가 주사 환자의 증상 호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한편, 우암학술상은 대한피부과학회와 대한피부연구학회의 공동학술지인 Annals of Dermatology에서 한 해 동안 가장 우수한 논문을 선정해 주는 상이다.
전남대병원 조진성·화순전남대병원 김희경 교수, 대한갑상선학회서 학술상 수상
전남대병원 조진성·화순전남대병원 김희경 교수, 대한갑상선학회서 학술상 수상 갑상선 엽절제술 후 재발인자 분석 주제로 <사진설명: 조진성 교수, 김희경 교수> 전남대학교병원 외과 조진성 교수와 화순전남대병원 내과 김희경 교수가 최근(3월3~4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2023 춘계 대한갑상선학회에서 학술상(우수포스터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으로 두 교수 모두 갑상선 관련 학회에서 2년 연속 학술상을 받았다. 수상한 논문은 ‘갑상선 엽절제술 후 재발인자 분석’으로 한쪽 엽에 국한된 다발성 갑상선암에서도 엽절제술을 충분히 시행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이는 지난 2015년 이후 갑상선 엽절제술이 확대되어 가는 상황에 논란이 많았던 엽절제술의 범위를 보다 안전하게 확대할 수 있다는 내용으로 세계적 수술 경향과도 부합하는 결과다. 조진성 교수는 현재 대한내분비외과학회 상임이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대한외과학회 재무위원, 대한갑상선학회 수련위원 등을 역임했다. 또 김희경 교수는 대한갑상선학회와 대한내분비학회에서 학술위원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한편 전남대병원과 화순전남대병원 내분비외과는 지난 1971년부터 51년간 2만3천건 이상의 갑상선 수술을 시행했으며, 내분비내과, 이비인후과, 병리과, 핵의학과 등 다양한 교수진과 긴밀한 협진으로 좋은 수술경과를 나타내고 있다.
전남대병원 주성필 교수 최우수 논문상 수상
전남대병원 주성필 교수 최우수 논문상 수상 제주서 열린 대한뇌혈관외과학회 학술대회서 신경외과 안강희 전공의도 최우수 발표상 수상 <사진설명: 주성필 교수(신경외과)> 전남대학교병원 신경외과 주성필 교수가 지난 17~18일 제주도 라마다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제 36차 대한뇌혈관외과학회 정기학술대회 및 총회에서 뇌혈관분야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또 전남대병원 신경외과 안강희 전공의는 이번 학술대회 중 전공의 발표 세션에서 최우수 발표상을 수상했다. 주성필 교수가 수상한 논문은 ‘뇌경색동물 모델에서 뇌 보호효과를 유도하는 대식세포의 역할(Systemic macrophage depletion attenuates infarct size in an experimental mouse model of stroke)’을 주제로 심각한 신경학적 결손 증상을 유발하는 뇌경색을 치료하는데 있어 뇌조직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식세포의 역할을 밝혔다. 또 안강희 전공의는 최소한의 경막 절개를 통한 내경동맥의 뇌 동맥류 결찰술에 관한 내용으로 최우수 발표상을 받았다. 한편 주성필 교수는 뇌혈관외과 분야에서 총 8차례 논문상을 수상했으며, 지난 2019년부터 4년 연속 최우수발표 및 논문상을 수상했다. 또 주 교수는 대한뇌혈관외과학회 상임이사, 신경손상학회 학술이사등 학회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
화순전남대병원, 신경내분비종양 루타테라 치료 지방 최초 도입
화순전남대병원, 신경내분비종양 루타테라 치료 지방 최초 도입 치료 접근성 증대·기회 확대 기여 <강세령 핵의학과 교수가 루타테라 치료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화순전남대학교병원은 서울 이외의 지역 최초로 신경내분비종양의 루타테라(Lutathera, 성분명 루테튬 옥소도트레오타이드) 치료를 시행했다고 22일 밝혔다. 화순전남대병원에 따르면 지난 9일 핵의학과(과장 강세령)에서 췌장 신경내분비종양의 간 전이 환자를 대상으로 첨단 방사성의약품인 루타테라 치료를 시행했다. 루타테라는 위장관 및 췌장 신경내분비종양 치료에 세계 최초로 승인된 펩타이드 수용체 방사성핵종 치료제(PRRT, peptide receptor radionuclide therapy)로서 생존 기간과 삶의 질 개선에 유의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2022년 3월 1일부터 ‘절제가 불가능하고 분화가 좋은 소마토스타틴 수용체 양성의 진행성 및/또는 전이성 위장관 신경내분비종양 성인 환자의 3차 이상, 췌장 신경내분비종양 성인 환자의 4차 이상 치료’에서 보험 급여가 인정되고 있다. 소마토스타틴 유사체 치료에 실패한 경우, 화순전남대병원에서 갈륨 도타톡 PET/CT 촬영으로 소마토스타틴 수용체 양성 여부를 포함한 치료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루타테라 치료를 받을 수 있다. 핵의학과의 강세령 교수는 “그동안 서울 소재의 일부 대형 병원에서만 루타테라 치료를 받을 수 있었으나 화순전남대병원에서도 치료가 가능해지면서 지방에 거주하는 신경내분비종양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 증대와 치료 기회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고 말했다.
화순전남대병원 장선경 간호사 ‘미래선도 간호사상’ 수상
화순전남대병원 장선경 간호사 ‘미래선도 간호사상’ 수상 <장선경 의료질관리실 간호사> 화순전남대학교병원은 의료질관리실 장선경 간호사가 병원간호사회에서 제정한 ‘제2회 미래선도 간호사상’을 수상했다고 20일 밝혔다. 장 간호사는 최근 병원간호사회가 주최한 ‘제48회 정기 대의원 총회 및 학술세미나’에서 간호 전문성을 갖추고 간호사 위상에 기여한 10명으로 선정돼 이 상을 받았다. 특히 장 간호사는 의료기관 질 향상과 인증기준이 상시 준수될 수 있도록 타 부서와의 적극적인 협력, 긍정적인 리더십을 통한 조직문화 발전 등의 공로를 인정받았다. 장 간호사는 “모든 부서의 질 향상과 환자 안전을 담당하며 항상 어깨가 무겁지만, 팀원들 덕분에 즐겁게 업무에 임하고 있다”며 “병원 동료들과 소통하고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화순전남대병원 강호철 교수 ‘2022 한반도 통일공헌대상’ 수상
화순전남대병원 강호철 교수 ‘2022 한반도 통일공헌대상’ 수상 <화순전남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강호철 교수(왼쪽에서 세 번째) 교수가 ‘2022 한반도 통일공헌 대상’을 수상하고 관계자들과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화순전남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강호철 교수가 ‘2022 한반도 통일공헌 대상’을 수상했다. 화순전남대병원은 2월 28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사)우리민족교류협회의 한반도 통일공헌대상 시상식에서 강호철 교수가 의료·복지 분야 대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수상자에게 수여된 메달은 비무장지대의 녹슨 철조망과 6·25전쟁 참전용사의 넋이 깃든 탄피 등을 녹여 제작됐다. 강호철 교수는 “대한갑상선학회 이사장직을 통해 대한민국 의료 발전에 공헌한 점, 2004년 화순전남대병원 개원 멤버로 병원 발전과 진료에 헌신한 점, 그리고 교육활동을 통해 많은 후학을 양성한 점을 인정받은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한반도 통일공헌 대상은 (사)우리민족교류협회가 매년 각 분야에서 한반도 통일을 위해 공헌한 국내외 인사들에게 시상하는 상이다.
차은경 총무과장, 국세청장 표창 수상
차은경 총무과장, 국세청장 표창 수상 <사진설명: 국세청장 표창 수상> 전남대학교병원 총무과 차은경 과장이 납세자의 날(3월 3일)을 맞아 지난 3일 광주 동구 호남동 광주세무서에서 국세청장 표창을 받았다. 차은경 과장은 전남대병원 총무과장으로서 전남대병원의 국세 신고 및 납부 등이 이행되도록 관리 감독을 성실히 수행하는 등 국세행정 발전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았다. 차 과장은 “병원 총무과장으로서 당연히 해야 할 일인데 상까지 받아 송구스러울 따름”이라며 “앞으로도 전남대병원이 앞장서서 선진세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화순전남대병원 안재숙 교수팀, 미국혈액학회 2년 연속 구연 발표
화순전남대병원 안재숙 교수팀, 미국혈액학회 2년 연속 구연 발표 급성골수성 백혈병 환자 데이터 기반 연구 <안재숙 혈액내과 교수> <송가영 혈액내과 교수> 화순전남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안재숙 교수팀(김형준·안재숙·안서연·송가영·김미희 교수)이 혈액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미국혈액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에서 2년 연속 구연 발표에 선발됐다. 2일 화순전남대병원에 따르면 최근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개최된 ‘2022년 미국혈액학회 정기학술대회(2022 Annual meeting of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에서 송가영 교수가 급성골수성 백혈병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연구를 주제로 구연 발표했다. 미국혈액학회는 매년 연례 학술대회를 개최해 세계적인 혈액학 연구자들과 혈액학 분야의 최신 연구 결과를 발표·공유하고 있다. 구연 발표 선발은 그 해 진행되는 학회에서 가장 중요한 발표 중 하나로 인정받은 것이다. 안 교수팀의 연구는 화순전남대학교병원 등 7개 병원에서 치료받은 624명의 급성골수성 백혈병 환자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럽 백혈병 네트워크(European LeukemiaNet, ELN) 급성골수성백혈병 가이드라인에 의한 위험도 분류의 타당성을 검증, 동일한 환자군에서 과거 2017년과 개정된 2022년 위험도 분류를 적용해 비교 및 대조한 연구를 진행했다. 안 교수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2022년 개정된 위험도 분류가, 실제 임상에서도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들의 예후를 더욱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특히 급성골수성 백혈병을 진료하는 임상의들의 치료 방향 결정에 도움을 줬다는 평가다. 안 교수팀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된 2021년 미국혈액학회 정기학술대회(2021 Annual meeting of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에서 골수이형성증-연관 유전자 변이가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에서 독립적인 불량한 예후 인자이며,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을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음을 제시한 연구 내용을 구연 발표하고 논문으로 출판한 바 있다. 안 교수는 “미국혈액학회 구연 발표한 이번 연구 결과는 혈액암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혈액학 분야에서 더욱 많은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환자들에게 최상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고 밝혔다.
김도완 교수 ‘1월 우수논문’ 선정
김도완 교수 ‘1월 우수논문’ 선정 <사진설명: 김도완 교수(흉부외과)> 전남대학교병원 흉부외과 김도완 교수가 ‘월간 우수논문’ 2023년 1월 대상자로 선정됐다. 전남대병원 의생명연구원은 전남대병원 본·분원 소속 겸직교수 및 임상교수요원이 출판한 논문과 전남대병원 의학도서실에서 매월 제공하는 논문리스트를 기초 자료로 활용해 월간 우수논문을 선정하고 있다. 의생명연구원이 선정한 2023년 1월 우수논문은 김도완 교수의 ‘백서 모델에서 이식된 스마트 강화 무세포 혈관의 생체 내 신속 리모델링 중기 관찰 연구(Rapid remodeling observed at mid-term in-vivo study of a smart reinforced acellular vascular graft implanted on a rat model)’다. 이 논문은 연구자가 소속된 연구팀에서 개발한 새로운 소구경 혈관의 기능성과 안정성을 동물 실험으로 검증한 연구로써, 향후 자가 혈관의 사용이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 마주하게 되는 환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라며 “연구를 같이 진행해준 연구팀과 흉부외과 교수님들께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한편, 월간 우수논문 선정 기준은 매월 등재된 SCI(E) 논문 중 학문 분야별 순위와 IF(Impact Factor)가 높은 논문과 ▲원저(Original Article) ▲메타분석 ▲리뷰 논문이 우선 선정 대상이며 ▲케이스 리포트 ▲레터 등은 후순위다. 월별 수상자는 1인이며, 주 저자들 중 선정하되 제1저자가 우선 대상이다. 수상자는 50만원의 포상금이 수여되며, 수상 시점(해당월)부터 1년 이내에 재수상은 불가하다.
김수현 교수 '12월 우수논문' 선정
김수현 교수 '12월 우수논문' 선정 <사진설명 : 전남대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김수현 교수> 전남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김수현 교수가 ‘월간 우수논문’ 2022년 12월 대상자로 선정됐다. 전남대병원 의생명연구원은 전남대병원 본·분원 소속 겸직교수 및 임상교수요원이 출판한 논문과 전남대병원 의학도서실에서 매월 제공하는 논문리스트를 기초 자료로 활용해 월간 우수논문을 선정하고 있다. 의생명연구원이 선정한 2022년 12월 우수논문은 김수현 교수의 ‘진균성 안내염의 진단과 예방(Outbreaks of Fungal Endophthalmitis After Cataract Surgery in South Korea, 2020)’이다. 이 논문은 인공수정체 수술 후 발생한 진균성 안내염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원인을 규명하여 집단감염의 신속한 대처에 기여했다. 특히, 제조 과정에서 곰팡이에 오염된 제품에 대해 관련 학회와 정부 관련 부처에 보고해 필요한 예방 조치를 취했으며, 이와 같은 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기여했다. 김 교수는 “전남대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일원으로서, 전국적인 진균성 안내염 집단감염의 원인 규명과 예방에 기여할 수 있어 기쁘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CDC에서 발행하는 대표저널에 발표돼 전 세계적으로 유사한 감염에 대한 경각심을 주고 재발을 예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월간 우수논문 선정 기준은 매월 등재된 SCI(E) 논문 중 학문 분야별 순위와 IF(Impact Factor)가 높은 논문과 ▲원저(Original Article) ▲메타분석 ▲리뷰 논문이 우선 선정 대상이며 ▲케이스 리포트 ▲레터 등은 후순위다. 월별 수상자는 1인이며, 주 저자들 중 선정하되 제1저자가 우선 대상이다. 수상자는 50만원의 포상금이 수여되며, 수상 시점(해당월)부터 1년 이내에 재수상은 불가하다.
전남대의과대학 김종근 교수, 그림 작품 기부
first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last
고객만족도 평가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현재만족도
100.0%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